국민 62.3%가 오버투어리즘에 대해 들어본 적 없다는 결과가 나왔다.

경기원구원은 이러한 연구를 담아 정책점 시사점을 도출한 <오버투어리즘과 사회적 딜레마>를 발간했다. 경기연구원이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 37.7%만 들어본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오버투어리즘이란 ‘관광 수용력 초과’를 뜻한다. 환경 파괴, 지역민 경제 소외, 지역문화 악영향 등의 형태로 보라카이, 아이슬란드, 두바이 등의 나라에서는 이미 몸살을 앓고 있다.

이번 설문조사 결과 오버투어리즘을 경험한 장소로는 제주도(24.5%), 북촌한옥마을(10.5%), 전주한옥마을(9.5%) 등 한옥마을이 주로 꼽혔다.

오버투어리즘으로 인한 관광객 불편 사항으로는 ‘높은 혼잡도로 인한 관람 불편’(41.4%), 긴 대기시간(17.2%), 부족한 주차공간(15.2%) 등의 결과가 나왔다.

오버투어리즘이 발생한 원인은 ‘SNS 발달, 개인일상 공유트렌드로 인한 포토존 관광객 쏠림현상’(33.8%), ‘관광객의 에티켓 문제’(23.8%), ‘관광객 증가를 예상하지 못한 관광인프라 대비 부족’(19.2%) 순이었다.

해결 주체는 누가 되어야 하냐는 물음에는 정부/지자체가 46.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관광객, 관광사업체가 그 뒤를 이었다.

바람직한 정책으로는 ‘관광객 분산유도’(29.7%)와 ‘관광문화 교육시스템 구축’’(28.8%)의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이수진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관광객 총량 제한, 관광가이드 동반 의무제 등을 통해 과도하게 몰리는 관광객 수를 제한하고, 공간적 이동제한 및 직·간접적 관광객 수 제한정책을 시행하면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며 “관광세 등의 세금을 부과하고 마을관광 에티켓에 대한 캠페인 실시, 관광객의 불필요한 행위를 방지하는 관광객 규칙 제정이 필요하다. 지역주민 대상으로는 관광 수익금을 지역주민에게 환원하여 선순환 구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