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개정교육과정 미리보기

강영준 김포시 교육자문관

삶과 연계한 미래역량 교육이 무엇일까? 이것이 무엇인지 떠오르지 않는다면 우리 학교에서는 어떤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 보십시오. 교과학습 중심의 지식학습이 대부분입니다.

 

삶과 연계한 미래역량 교육은 삶의 주체인 인간으로서 자신의 모습을 파악하고 서로 어울려 살아가는 것, 삶을 주체적, 주도적으로 살아가는 것, 자기 주변의 것을 소중히 하고 익히고 빛나게 하는 것 등이 될 것입니다.

 

그런데 어떤 분들은 이미 학교에서 삶과 연계한 미래역량 교육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많은 학교, 수많은 선생님들이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2022 개정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무엇인가 문제가 있다는 것이겠지요. 다른 한편, 당위성만을 말하고 학교 현장에서의 적용은 먼 나라 이야기라면 이 또한 공허할 뿐입니다.

 

삶과 연계한 미래역량 교육을 성공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은 오직 하나입니다. 그것은 ‘교과 중심 미래역량 교육 보완의 관점’이 아니라 ‘미래역량 중심 교과학습 종적인 관계로 혁명적인 의식전환’이 이루어질 때 가능합니다. 이 생각의 대전환이 학교운영 시스템, 수업 시스템, 수업 내용을 하나하나 미래역량 습득 중심으로 바꿀 것입니다.

 

삶과 연계한 미래역량교육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먼저 우리 김포시의 학부모님들은 어떤 교육을 원하고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표> 김포시 학부모 미래역량 요구 조사

영역 

빈도

%

 다중케이스

자신감 및 자존감

38

23.8

67.9%

소통과 관계

35

21.9

62.5%

공동체성

25

15.6

44.6%

개인특성 파악과 진로정보

9

5.6

16.1%

교과 지식

5

3.1

8.9%

지식습득 방법

4

2.5

7.1%

예술적 소양

5

3.1

8.9%

디지털기기활용

3

1.9

5.4%

심리적 안정

13

8.1

23.2%

도전과 탐구

23

14.4

41.1%

(강영준(2020), 평화담은 김포마을자원 콘텐츠 실행력 향상을 위한 컨설팅 요구조사, 김포 혁신교육지원센터)

 

위 표에서 보는 것처럼 학부모들은 ‘자신감, 자존감’, ‘소통과 관계’, ‘공동체 의식’, ‘개인특성 파악과 진로교육’, ‘교과학습’ 등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로베르타 골린코프 등은 <최고의 교육>(예문아카이브)에서 4차산업혁명 시대를 살아갈 역량으로 ‘협력’, ‘의사소통’, ‘컨텐츠’, ‘비판적 사고’, ‘창의적 혁신’, ‘자신감’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표> 로베르타 골린코프, 캐시 허시-파섹의 미래인재 역량 6C

(단계)

협력

(Collaboration)

의사소통

(Communication)

컨텐츠

(Content)

비판적 사고

(Critical Thinking)

창의적 혁신

(Creative Innovation)

자신감

(Confidence)

 

 

4

 

함께 만들기

공동의 이야기하기

전문성

증거 찾기

비전 품기

실패할 용기

3

주고받기

대화하기

연관짓기

견해 찾기

자신만의 목소리 내기

계산된 위험 감수하기

2

나란히

보여주고 말하기

폭넓고 얕은 이해

사실을 비교하기

수단과 목표갖기

자리 확립하기

1

혼자서

감정 그대로

조기학습과 특정 상황

보는대로 믿는

실험하기

시행착오 겪기

 

교육부는 2015 개정교육과정 총론에서 창의융합형 인재상과 6가지의 학생역량을 제시하고 있고 이의 습득에 각급의 교육기관들이 복무할 것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표> 교육부 2015 개정교육과정 학생역량 구조와 KEDI 학생역량 지표체계

국가 교육과정

학생역량 구성요소

대영역

정의

소영역

하위지표

자기관리 역량

자아정체성과 자신감을 가지고 자신의 삶과 진로에 필요한 기초 능력과 자질을 갖추어 자기 주도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능력

 

긍정적 자아의식

자기이해

자아정체감

자기 주도성

성취동기

자기관리

자기확신

진로성숙도

진로계획성

진로독립성

진로행동

지식정보처리 역량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영역의 지식과 정보를 처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

지식정보 처리능력

지식정보 수집 및 분석 능력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

창의적 사고 역량

폭넓은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전문 분야의 지식, 기술, 경험을 융합적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능력

언어적 사고 능력

사실적 이해 능력

추론적 이해 능력

비판적 이해 능력

수리적 사고 능력

수 추리 능력

수리적 의사소통능력

수리적 문제해결능력

창의적 사고 능력

발산적 사고력

독창적 유연성

탐구심

심미적 감성 역량

인간에 대한 공감적 이해와 문화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삶의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고 향유할 수 있는 능력

문화적 소양

독서활동

예술활동

스포츠활동

다문화 수용성

다양성

관계성

의사소통 역량

다양한 상황에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청하며 존중하는 능력

의사소통 능력

공감

소통

공동체 역량

지역․국가․세계 공동체의 구성원에게 요구되는 가치와 태도를 가지고 공동체 발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능력

민주시민성

공동체성

협동성

준법성

봉사성

세계시민성

국가정체의식

지구공동체의식

(한국교육개발원(2018), 2018 KEDI 학생역량 조사 연구)

 

학부모님들은 미래역량교육을 하게 되면 진학·진로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을까? 하는 오해를 합니다. 그런데 미래역량교육은 교과학습을 배제하는 것이 아닙니다. 미래역량교육은 교과학습에서의 역동성은 물론 미래 일 생활에서의 성취 높은 삶을 지원할 것입니다. 또한 결정적으로는 진학부문에서도 더 만족스런 결과를 만들어 낼 것입니다.

 

삶의 수많은 모습, 시간과 공간 속에 어우러지는 다양한 교육활동이 삶과 연계한 미래역량 교육이 될 것입니다. 우리 모두 협력해 지혜롭게 풀어갈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오늘 언급하지 않은 불확실성의 미래 대비 교육은 미래역량 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진다면 자연스럽게 해결되는 과제입니다. 다만 불확실성의 미래라는 개념을 어떻게 규정하느냐에 따라 교육내용은 풍부해질 것입니다. 예를 들어 기후위기와 생태환경의 변화를 미래 불확실성으로 파악한다면 이에 대한 이해와 대처에 관한 교육이 준비되어 아이들과 함께하게 될 것입니다.

 
저작권자 © 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