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석환
김포우리병원, 심장혈관센터순환기내과 과장
심장은 3개의 심장혈관(관상동맥)을 통해 혈액을 전신으로 순환하는 역할을 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혈전증, 동맥경화증, 혈관의 수축 등으로 인해 3개의 관상동맥 중 한 곳이라도 협착(수축 등으로 인해 혈관 등의 통로의 지름이 감소하는 것)이 발생하면 협착이 있는 혈관에 해당하는 심장근육 부위에 혈류 공급이 감소하면서 산소 및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감소하여 심장근육이 이차적으로 허혈 상태에 빠지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를 협심증이라고 한다. 협심증을 유발시킬 수 있는 주요 위험 인자로는 고령의 나이, 흡연,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심혈관질환의 가족력, 비만, 운동부족 등이 있다.

협심증의 증상으로는 환자의 대부분이 급성 통증 또는 운동이나 활동 시 발생하는 통증의 호소가 있다. 보통 가슴을 쥐어짜는 듯이 아프거나 가슴에 싸한 느낌이 있다고 호소하며 주로 가슴의 정중앙 또는 약간 좌측 부위에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증상이 없는 경우에도 명치 통증 또는 턱끝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고 간혹 속이 아프다거나 가슴이 쓰리다고 호소하는 환자도 있다. 흉통은 호흡곤란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고 좌측 어깨 또는 좌측 팔의 안쪽으로 퍼지는 경우도 있다. 협심증의 검사로는 대개 기본적인 혈액검사, 심전도 검사, 흉부 단순촬영을 시행하며 이와 더불어 심장초음파와 운동부하검사를 시행한다. 최근에는 입원없이 심혈관 조영 CT 검사를 시행하여 심혈관질환을 진단할 수 있으며 또한 입원검사인 심혈관조영술은 협착 또는 폐쇄된 혈관을 찾아서 그 정도와 부위를 진단할 수 있어 확진검사의 목적으로 시행하기도 한다.

협심증의 치료는 크게 협착이 심한 혈관을 넓혀주는 관혈적 치료와 약물 치료가 있다. 관혈적 치료는 대표적으로 스텐트 삽입술이 있으며 이 시술은 요골 또는 대퇴동맥을 통하여 심혈관 조영술을 시행하여 폐색 또는 협착된 혈관을 찾아낸 후 혈관 안으로 도관을 삽입하여 풍선과 스텐트라는 철망을 이용하여 혈관을 넓히는 시술이다. 약물치료로는 아스피린을 포함해 심장 보호 효과가 부가적으로 있는 혈압약을 복용하게 된다. 협심증의 예방 방법으로는 위험인자를 발견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며 매일 30분~40분씩 운동을 실시하고 금연하는 생활습관을 갖는 것이 좋다. 식사는 저지방식이와 신선한 채소와 과일을 섭취
하는 것이 협심증 예방에 도움이 된다.

저작권자 © 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