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수 경희대학교 학술연구 교수
김포시는 한강, 임진강 그리고 서해바다가 이어져서 풍부한 갯벌과 다양한 생물 종이 서식하는 지역이다.

김포시와 고양시 일대를 접하고 있는 한강하구는 천연기념물 제 203호인 재두루미, 천연기념물 제 325호인 개리, 천연기념물 제 235호인 저어새 및 환경부 멸종위기 Ⅱ등급인 큰 기러기 등 총 90종 7만여 마리의 철새가 해마다 도래하는 지역으로서 문화재보호법에 의해 천연기념물지역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그리고 한강하구 주변의 홍도평야, 이화동 그리고 평동 등의 농경지역은 재두루미가 취식지역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이 외의 양촌읍, 통진면 그리고 하성면 일대는 큰기러기 등의 다양한 겨울철새가 취식지역으로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위의 취식지역은 농업용 창고, 농가주택 그리고 다양한 개발로 인하여 그 면적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더하여 김포한강신도시 건설로 인하여 나타날 수 있는 조류서식지 감소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야생조류생태공원 조성사업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겨울철새를 포함한 다양한 조류의 서식지를 보전하고 자연관찰 경험 및 자연학습으로 자연환경에 대한 가치관의 형성과 가치판단을 조장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한다는 취지에서 김포 한강신도시 야생조류생태공원을 조성하고자 하였다.

야생조류생태공원은 김포한강신도시의 한강 쪽에 위치함으로써 생태계 보호 및 환경인식의 고취와 함께 생태관광 및 교육을 위한 중요한 관광자원의 역할과 김포 한강신도시를 보다 자연친화적으로 조성함으로써 신도시 주민과 인근 지역 주민의 생활의 질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김포한강신도시 조류생태공원 조성목 적은 첫째, 김포시 일대의 농경지역과 한강하구에 도래하는 조류에게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식지 제공하고, 둘째, 김포시 일대에 도래하는 큰기러기, 쇠기러기, 청둥오리 그리고 흰뺨검둥오리 등의 겨울철새와 백로과 조류인 왜가리, 중대백로, 쇠백로, 황로 그리고 해오라기 등의 여름철새에게 지속적인 서식공간 제공하고 나아가 재두루미의 서식을 유도하고, 셋째, 김포 한강신도시 야생조류생태공원과 인접한 운양산과 모담산에 서식하는 산림성 조류의 유치를 위한 생태 숲을 조성하고, 넷째, 조류를 포함한 다양한 생물서식 공간을 조성하여 김포한강신도시 주민 및 인근지역 주민에게 여가활용 및 생태학습장으로서의 공간을 제공하고, 마지막으로 자연환경에 대한 가치관의 형성과 가치판단을 조장할 수 있는 장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야생조류생태공원의 조성한다는 것이다.

김포한강신도시 조류생태공원 대상지역은 과거 큰기러기, 쇠기러기, 황오리 그리고 흰뺨검둥오리 등이 취식 및 휴식지역으로 이용하였다. 이에 김포한강신도시 조류생태공원은 조류의 서식지뿐만 아니라 조류의 생태를 관찰하고 다양한 조류를 탐조할 수 있는 충분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특히, 김포한강신도시와 인접한 한강하구와 연계하여 생태교육과 탐조활동 등이 이루어지면 지역주민 및 인근지역 주민의 생태학습장으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김포한강신도시 야생조류생태공원은 야생조류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물(어류, 양서류 및 파충류 등)이 서식할 수 있는 다양한 서식지역을 조성할 예정이기 때문에 남녀노소를 불문 하고 다양한 시민이 생태학습장 및 자연을 관찰하고 학습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생태학습장의 예는 전라남도 순천시 순천만 자연생태관, 부산광역시 낙동강하구 을숙도 그리고 경상남도 창원시 주남저수지 생태학습원과 영국의 WWT(Wetland Wildfowl Trust)와 홍콩 의 National Wetland Park 등의 성공사례를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지역 환경을 고려한 조류생태공원의 계획, 설계, 운영 그리고 관리 프로그램 구상을 통하여 지속 가능한 조류생태공원의 조성방향을 제시하고 나아가 지역주민이 참여할 수 있는 생태학습프로그램의 개발 및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경제적 이익 창출 및 지역 환경의 보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 것으로기대된다.

저작권자 © 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