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한 번 선거에 관한 글을 쓰고자 한다.

지자체 선거일이 불과 열사흘 앞으로 다가 든 탓인 지 출마자들의 정견ㆍ정책 개진도 덩달아 수선스럽게 들끊는다. 그런데 형식도 내용도 어쩌면 그렇게도 전국적으로 한통속인 지, 이쯤 질기게도 ‘빼다 박은’, 관행적 얼렁수작에 넌덜머리가 난다. 물론 그런 정치더퍼리 속에도 “그 사람 참 쓸만한 소신을 가졌군”하는 감탄성이 절로 새게끔, 생각도 정신도 올차고 실팍한 사람이 한 둘은 섞였으되, 출마자 거진반의 언변술은 허무맹랑하고 당돌해서 썩 개운찮다.

필자는 전번에도(김포신문 5월6일자 칼럼) 정치인들의 밀어붙이기식 ‘주도적 사고’와 오로지 소명감과 실천의지에 근거한 ‘보완적 능력’에 대해 열졸한 생각을 편 적이 있다. 오늘은 그 말의 속사정을 갈무리 짓고자 한다.

쉽게 생각하자. 기초적 지반공사도 하지 않고 그 곳에다 고루거각을 짓겠다 큰소리치고, 쓰러져 가는 기둥은 곧추세울 생각도 않고 으리으리한 저택으로 개수하겠다는 맹추가 바로 ‘주도적 사고’의 장본인이요, 지경노래 드높이 땅을 다져 튼실한 초가 삼간이라도 짓고 쓰러져 가는 굽도리 굽도리에다 못질이라도 박자 나서는 사람이, 바로 ‘보완적 능력’의 본색이요 알짜인 것이다.

어떤 출마자의 번폐스러운 말장난에 홀딱 속아 그 사람만이 내고장을 살릴 것이라며 찬성표 꾸욱 눌러 둥글의자에다 높직이 앉혔다 치자. 급한 김에 내쏟고 본 출마변은 사뭇 옛적 얘기요, 게다가 감초에 약방문식으로 써먹다 바닥나버린 ‘주도적 사고’마저 이젠 재생산의 여력이 없겠다. 그러면 막판의 외통수가 기껏‘편법(便法)일 수밖에 달리 뾰족한 묘수가 있겠는가.

그래서 편법을 양산한다. “뭘 그렇게 골을 썩히나? 편할 대로 하면 되지!”하는 속셈이 능사가 된다. 국어 사전에서 밝혔다. ‘편법=간편하고 손쉬운 방법’이라고. 어련하겠는가. 생각이 늙고 창의가 메마르면 편법위주의 행정이 판을 치게 돼있다. 지역적 ‘연고’와 얄팍한 ‘정실’에 근거한 ‘행정 업적주의’가 바로 편법의 속살이다.

그렇다면 봐주기식 편법이야말로 ‘기획행정’‘봉사행정’‘능률행정’에 정반하는, 지역적 이해에 적당히 제휴하고 얼기설기 얽힌 연고를 후원하는, 바로 ‘땜질행정’이요‘맛뵈기식 행정’아닌가. 결국엔 ‘해달래서 해줬지 않느냐, 책임은 너희들이 져야지!’하는 ,관존민비(官尊民卑)의 악습적 한계를 벗어 날 수 없는 것이 편법의 말로일 것이다.

지역의 황폐와 부락위주의 퇴행은 편법만능의 횡행에서 비롯되고, 한 나라의 망쪼도 이런 토대 위해서 차근차근 여물게 돼있다. 한 가지만 보기를 들어보자. 요즘 들어 ‘친환경적’이란 상투구가 위새잰다. 환경친화의 진정한 뜻은 ‘환경의 보존’이란 명제보다 ‘환경의 질적개선’에 있다. 길 하나를 내고 건물 하나를 세움이 설령 ‘정법(正法)’이요 적법이라 쳐도, 환경적 요인에 어긋나면 안 밀어붙이는 것이 선진적 사고이다.

즉 주거적 요인ㆍ교육적 요인ㆍ문화적 요인 따위를 골고루 감안 할 때 어딘가 마뜩찮다 싶으면 정법이나 적법도 불허하는 것이 선진사회의 유기적 생명력이란 말이다. 하물며 엄연한 불법을 편법의 명색으로 둔갑시키고도 ‘나 몰라라’하는, 이른바 학습적 일과에만 안주 할 수밖에 없는 사람이 시장자리를 차고 앉는다면, 그 땅의 운세(?)가 어찌 될 것인가.

‘내 사랑 김포’를 위해 필자는 소원한다. 귀찮고 또 능력이 못 미치는 일에 당면하면 우선 편법에다 떠맡기는, 그래서 단위적 행정발단까지 업적위주의 편법으로 길들이는, 그런 시장은 기필코 뽑지 말자.


<시인·소설가·본지 논설위원>
저작권자 © 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