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에 첫 광역 기관이 유치 확정됐다. 도 산하 공공기관 본원이 없었던 김포로서는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더욱 의미깊은 것은 최초로 유치되는 광역 기관이 환경정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을 기관이라는 점이다.

김포는 지금껏 ‘환경오염도시’라는 오명 속에 갇혀 있는 도시였다. 불과 3년전까지만 하더라도 환경이슈가 줄이을만큼 심각한 환경문제들이 발생돼 왔고 ‘환경오염도시’의 프레임은 벗기 어려울 만큼 견고해 보였다. 민선7기 출범 초반, 정하영 시장은 ‘환경과의 전쟁’을 선포하며 환경국을 신설, 환경민원에 대응하는데 주력했다. 당시 강경한 시의 대응에 이에 따른 민원도 헤아릴 수 없을만큼 이어졌지만, 2019년 김포의 환경민원이 전년대비 40% 감소하는 놀라운 결과가 나타났다.

그리고 그 다음해인 올해, 환경수요에 부응하고 환경 에너지 분야 전문성을 강화하는 사업을 추진하고자 설립되는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을 유치하는데 성공했다. 이번 공모에서 10대 1이라는 가장 치열한 경쟁을 뚫고 김포가 새로운 환경기관 입지 대상지로 선정된 것이다.

현 시점에서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 유치 외에도 김포의 환경 호재 가능성은 또 있다.

환경부 산하기관인 한국환경산업기술원과 김포시, 한국수자원공사가 협업해 대곶지구를 스마트 재생도시로 전환하는 사업인 대곶지구 스마트환경 순환 시범도시 조성사업이 진행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현재 25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친환경 스마트 재생도시 건립을 위한 기본계획수립과 타당성 조사 용역이 진행될 예정으로, 2022년 5월 용역 결과가 나올 전망이다. 환경부에서 먼저 김포시에 제안해 이슈가 되기도 한 이 사업은 순항할 경우 대곶면 거물대 1,2리, 초원지3리 일대의 약 156만평이 스마트 환경도시로 탈바꿈하게 된다. 스마트 환경도시 내에는 주거, 산업, R&D, 교육, 전기차특화단지, 에코센터, 리사이클 클러스터 등이 도입될 전망인데, 대곶지구와 진흥원이 연계하게 되면 파급력 및 사업 확장성은 무한해질 것으로 보인다.

환경이 치명적 약점이었던 도시가 3년만에 환경을 새로운 동력으로 삼는데 성공한 셈이다.

물론, 환경정책의 산실이 될 기관을 유치했고 스마트 환경도시조성사업의 용역이 시작되었다고 해서 김포의 환경이 일순간에 바뀌었다고는 할 수 없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김포가 ‘환경오염도시’의 프레임에서 벗어나 새로운 동력으로 환경을 바라보기 시작했고, 그것의 시작으로 인프라 구축에 성공하고 있다는 것이다.

시각을 바꾸면 가능성이 보인다고 했다. 김포의 환경 역시 같은 맥락에서 볼 수 있는 문제다.

단적인 예로, 김포는 공모대상 시 군 가운데서 공장등록수가 가장 많은 도시다. 민선7기는 이에 대한 시각을 바꿔 김포가 문재인 정부 핵심 과제인 그린뉴딜을 추진할 녹색산업 육성지로 최적인 곳이라 어필했고, 그 전략은 성공했다.

오랜기간 환경오염도시에 갇혀 있던 김포가 이미지 전환을 시작했음에 박수를 보내며,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의 유치를 계기로 김포의 환경발전이 속도를 낼 수 있길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