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스스로 도시의 문화환경을 기획하고 실행해 나가는 ‘법정 문화도시’ 지정에 대한 논의가 지역 문화예술계 이슈인 가운데, 문화도시에 가까이 다가가기 위한 다각도의 의견이 제기됐다.

지난 14일 김포문화재단 주최로 ‘시민, 문화도시 김포를 열다’라는 주제로 문화도시 포럼이 개최됐다. 이날 포럼에서는 ‘시민과 함께 만드는 문화도시와 지역공동체’에 대한 전문가 발제 및 주제토론이 이어졌다.

 

정 시장 “문화도시, 시민과 행정이 융합된 거버넌스가 중심돼야”

 

정하영 시장은 이날 특별세션을 통해 김포의 옛 포구와 접경지역, 한강하구의 평화적 활용에 대해 의견을 제시했다. 정 시장은 “김포에는 오랜 역사에서 나오는 문화, 접경 지역에서 나오는 문화, 급변하고 팽창하고 있는 역동적 도시에서 나오는 문화가 있다. 이 3가지의 문화를 한 데 이어주고 문을 열어주는 것이 문화도시 추진 취지”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김포가 새로운 문화가 아닌 지금까지 가졌던 역사와 정체성, 그리고 시민들이 앞으로 가져가야 할 정주권을 문화도시를 통해 정립되고 토론되어 대안들을 모색해 나가는 과정이길 바란다”며 “시민과 행정 모두가 새로운 거버넌스로 하나되어 문화도시를 풀어나가길 희망한다”고 전했다.

문화도시, 시민주체 참여 및 성장이 최우선 요소

 

포럼에서는 타 도시의 사례들도 깊이있게 소개됐다.

지금종 강릉문화도시센터장은 “문화도시를 넓게 볼 필요가 있다. 문화와 평화를 잘 엮는 것이 중요하다. 사람들이 논의를 하다 보면 우리가 문화도시로 가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한 의제가 나오게 되는데, 시민의 영역, 행정의 영역들이 나눠지게 될 것이다. 그러나 거버넌스의 논의는 행정이 할 수 없다. 한계가 있다는 것부터가 시작”이라며 “시민의 자발적 참여가 없다면 시작 자체가 어렵다. 그만큼 시민이 주체가 되어야 하고, 전문인력은 서포트해주는 구조로 가야한다”고 강조했다.

지 센터장은 문화도시의 지속가능성 포인트로 ‘시민주체를 키우는 것’을 꼽았다. 그는 문화도시 거버넌스 구축에 대해 “행정협의체의 상시적 논의”와 “시민의 주도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이어 그는 “문화도시추진위원회가 민간에서 위원장이 나오고, 행정의 영역에서 시장님, 부시장님 등이 공동위원장이 되어 자율성을 끌어올릴 수 있는 것으로 지원해 주어야 한다. 그렇게 되면 지속가능성이 생기게 된다”고 조언했다.

강승진 춘천문화재단 문화도시센터장은 문화재단의 역할에 주목했다.

결과보다는 과정, 기획보다는 변화를 계획하는 사업이 문화도시사업이라고 언급한 강 센터장은 시민의 활동을 촉진하고 자원을 엮어내는 활동을 이어가야 한다고 전했다. 또한 문화재단이 점차 지역문화를 기획하고 문화도시 문화사회를 조성, 도시를 브랜딩하는 역할로 나아가야 할 것을 강조했다.

그는 “문화도시 사업은 시민의 일상에 문화적 사건을 만드는 일이다. 시민이 문화주체로 성장해 나가기 위해 어떠한 역할이 부여되어야 한다”며 “원주의 경우 그림책을 주제로 그림책 세계로 시민들을 불러냈다”고 소개했다.

결국 ‘시민주도’, 어떻게 이끌어낼 것인가

 

이어진 토론에서는 ‘시민주도’와 ‘김포를 바라보는 재해석’에 대한 의견들이 주를 이뤘다.

도경민 청주시문화도시센터 시민문화팀장은 “진정한 시민중심 플랫폼이 되기 위해서는 시민주도, 소비자와 생산자가 서로 연결되고 하나로 통합되는 순환, 열린 구조를 갖는 소통형 조직체계로의 변화에 따른 개방과 소통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윤걸 완주문화도시지원센터장은 “문화도시 사업의 핵심이 거버넌스 구조의 정착에 있다. 정책결정자인 공공과 정책의 수혜자인 민간이 전문성에 기초한 수평적 소통과 협력을 통해 합리적 의사결정을 해 가는 과정을 어떻게 상설화하며 일상화할 것인지가 핵심과제”라며 “중요 의사결정자의 지위에 맞는 합리성과 전문성을 구축해 시민역량을 강화하는 것도 필수”라고 전했다.

유영숙 김포시의원은 “김포가 문화도시로 전환되기 위해 김포의 해석이 필요하다. 시민들이 원하는 문화도시는 소통하는 문화도시라 생각한다”며 “이주민은 김포시민이 되고 싶어 사회적 관계를 맺고 싶어 하고 원주민은 생활 문화인이 되고 싶어 사회적 관계를 맺고 싶어 한다”고 말했다.

강재석 김포시자치공동체지원센터장은 “자발성을 근간으로 한 공동체만이 지속할 수 있다. 과거와 달리, 최근 자발성을 가지고 활동하는 공동체가 관내에 30여군데가 있다. 또, 김포에는 다른 시군과 다르게 진행하고 있는 주민자치회가 있다”며 “주민 스스로 자기의 문화생활을 향유한다면 공동체 쪽에서 찾을 수 있는 부분이 상당할 것”이라 언급했다.

저작권자 © 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