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하영 시장 본지 인터뷰에 이어

현대 사회에서 변화는 가파른 속도로 일상을 바꾸고 있다. 변화된 일상은 산업과 도시의 생태계마저 바꾸고 있고, 변화된 사회는 지자체의 개별 경쟁력을 요구하는 흐름과 맞물려 있는 것이 현재다.

그렇다면 우리는 지금, 무엇을 변화해 나가야 하는 것인가.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우리는 이미 지자체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를 경험했다. 과거 재난 발생시, 중앙 정책의 빈틈에서 지자체의 역할을 찾는 ‘수동적’ 대응에 그쳤다면, 이제는 지자체가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지자체의 특색에 맞게 대응책을 구현해 나가야 한다.

비단 재난에 국한된 얘기만은 아니다. 재난을 계기로 변화의 물길은 거세졌고, 지자체는 사회 전반의 패러다임 변화에 대비한 시스템으로 전환해야 하는 시점에 당면했다.

변화된 사회는 일괄적이 아닌 맞춤형으로, 보편적이 아닌 전문화된 방향을 요하고 있다.

공조직은 이러한 변화 속 ‘어쩔 수 없는’ 예외가 아닌, 가장 우선적으로 능동적으로 변화해야 할 조직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정하영 시장은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공직사회가 행정 패러다임의 변화를 인식해야 할 때”라며 “행정과 시민, 관련 단체가 함께 하는 거버넌스 행정이 되지 않으면, 시대 흐름을 따라가지 못한다”고 언급했다.

민선 7기 들어 각 분야별로 ‘자문단’, ‘위원회’가 상당수 구성됐다. 관련 분야 전문인, 활동가 등으로 구성된 자문단과 위원회는 거버넌스 행정에 있어 필수 요소다. 행정은 실제로 현재 설치되어 있는 이 조직을 십분 활용해야 한다. 논의와 공유는 시대 흐름에 맞는 효율적인 행정을 이어나갈 수 있는 필수 절차이고, 이 같은 과정은 곧 사회적 조율의 일환이다.

전문성, 지속성을 특히 요구하는 문화, 교육 등 분야의 경우는 전문가 영입이 필수다. 전문가 영입만 해두고 아무 역할도 주지 않는 꼼수는 안된다. 선도까지는 아닐지라도 변화된 시대의 흐름에 발맞춰 가야 하는 것은 당연한 순리다.

지금쯤 되돌아보자. 김포시 행정은 얼마나 시대의 흐름에 순행하고 있는가.

시대의 변곡점에 서 있는 현재 시민과 함께 호흡하는 행정을 지향한다면, 공조직은 관행화된 기득권부터 내려놔야 한다.

저작권자 © 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