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의 로컬푸드

앞선 사례에서 김포의 로컬푸드 성공사례와 완주의 성공사례를 통해 대한민국의 로컬푸드의 사례를 봤다. 이번 호에선 대한민국 이전에 로컬푸드를 먼저 진행한 미국, 일본 등 해외 선진국의 사례를 소개한다. 앞선 이야기대로 선진국들은 대안농업, 대안먹거리 운동 중 하나로 로컬푸드를 시작했고 상대적으로 산업화·관행화된 유기농 운동에 대한 반성, 신자유주의 세계화에 대항하는 지역 중심의 대안세계화, 농산물 무역자유화로 인한 먹거리 위험의 증가 등과 맞물리면서 2000년대 이후세계 각국에서 활성화되고 있다.

지역먹거리보장(community food security)를 구축한 미국
미국에서는 1996년부터 로컬푸드 보장 달성을 목표로 지역의 먹거리, 농장, 영양관련 의제들에 대한 집중적인 대응을 위해 다양한 지역(공동체)먹거리 프로그램(community food program)들을 추진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들은 지역의 농장들과 지역의 먹거리 시장(학교급식 및 공공급식, 농민장터, 외식업체 등), 그리고 다양한 먹거리 복지 정책(학교급식 및 아동급식 지원, 임산부 및 영유아 영양지원 등)들을 연계하고 있다. 그 덕분에 2005년부터 2010년의 기간동안 2천만 파운드(9,071톤)의 농산물 생산, 270만명의 참여자, 65개의 로컬푸드 정책협의회(혹은 네트워크) 형성, 2,600개의 일자리 창출 등 성과를 보였다. 또한 미국은 식량주권 조례 제정 운동을 통해 지역의 먹거리보장 수준을 높이기 위한 운동이 벌어지고 있다. 이 조례의 목적은 ▲주민들이 로컬푸드에제한 없이 접근하도록 함, ▲지역농업생산과 지역농산물 소비를 장려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직거래 소비자가 농민장터, 길거리 판매대, 농장 직판 등을 통해 먹거리를 구매할 수 있도록 보장 등이 있다.

▲ 미국 로컬푸드의 일환 농장에서 학교로

'농장에서 학교까지'를 실행하는 미국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행하는 로컬푸드 음식을 지역학교에서 소비하는 운동은 미국에서도 진행 중이다. 미국은 학교급식과 지역중소농(조직)의 연계를 통한 학교급식 질의 향상, 지역소농 지원을 꾸준히 추진하고 있다. 이는 '학교급식 직원이 개별 농민들에게 직접 구매하는 방식', '학교 푸드서비스 직원이 농민 협동조합에서 구매하는 방식', '학교급식 직원이 지역 농민시장에서 지역농산물을 구매하는 방식', '학교급식 직원이 전통적 도매상을 통해 지역에서 재배한 먹을거리를 주문하는 방식', '학교급식 직원이 비정부 단체로부터 지역농산물을 구매하는 방식', '학교 푸드서비스 직원이 주정부를 통해 지역농산물을 구매하는 방식' 등을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지역농산물을 구매하고 있다.

▲ 일본의 지산지소운동

일본 이바라키현의 로컬푸드 운동
일본에서 로컬푸드 운동을 '지산지소(地産地消)'라고 표현되기도 한다. 이는 지역에서 생산하고 지역에서 소비함을 의미한다. 그중 이바라키현은 '맛고장 식채운동(うまいもんどころ食彩運動)' 추진 협의회를 통해 로컬푸드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주요 활동내용은 ▲이바라키현 산품 판매구획을 설치한 양판점과 이바라키현 산품 식재료를 제공하는 식당을 지정하고 홍보 도모, 캐치프레이즈 사용허가 지정 ▲정보제공과 농업체험 등을 통해 이바라키 농업 이해 제고 ▲협의회 개최, 식생활 교육추진 볼런티어 설치, 학교급식에 대한 지역산품 활용촉진 등이 있다. 그리고 2005년부터 매월 세번째 일요일과 그 전의 금 · 토요일을 '지산지소의 날'로 지정하고 활동을 활성화시키고 있다. 이에 대한 평가로서는 민간 · 기초 자치단체의 협력을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지산지소'와 식생활 교육에 있어서는 지역주민, 민간에 있어서의 자주적 전개 또한 중요하다고 지적되고 있다.

다른 해외의 로컬푸드 사례
캐나다 밴쿠버는 오랜 기간 도시농업을 육성하고, 먹거기헌장 등을 만든 민간의협력, 거버넌스를 기반으로 지역 먹거리전략을 2013년 1월 수립하고 공식 발표했다. 밴쿠버는 ▲사회적 기업 및 중소사업체 지원. 이동장터 개설. ▲공동체 텃밭(community garden), 도시영농(urban farming) 등 지원 ▲취약계층 등에 먹거리 접근성을 높이는 소매점 등 개설등을 진행하고 있다. 이는 사회적으론 공동체 복원, 사회적 포용(social inclusion), 교육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경제적으론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영국 역시 공공부문 농식품 구매 계획의 수립, 시행 과정에서 영리한 먹거리 공공조달 방안을 통해 학교, 병원, 군대, 교도소 등의 공공부문 급식에서 EU의 원산지 차별금지 규정을 피하면서 로컬푸드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영국은 신선한 제철 먹거리 공급, 법률에 명시되어 있는 친환경먹거리 공급, 유전자조작되지 않은 먹거리 공급, 먹거리 연관 교육 및 농장체험 방문활동 실시 등을 통해 지역내 중소농과 농식품 관련 중소 지역업체들의 육성 추진하고 있다.

진경남 기자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지원을 받아 작성했습니다.>

저작권자 © 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