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김포시 공동체 활동의 현실과 과제 <4>
(마을 만들기, 사회적 경제, 경기도 따복 중심으로)

국내 최초로 설립된 커뮤니티 비즈니스 센터

마을만들기 사례 - <국내①> 완주공동체지원센터

-----------------------------------------
1회 : 마을만들기, 철학의 문제다
2회 : 사회적 경제는 대안이 될 수 있을까?                  
3회 : 경기도 따복사업의 현황과 과제
       - 마을만들기와 사회적경제의 융복합은 가능한가?
4회 : 마을만들기 사례 - <국내①> 농촌형 마을만들기(완주, 논산)
5회 : 마을만들기 사례 - <국내②> 농촌형 마을만들기(진안, 홍성)
6회 : 마을만들기 사례 - <국내③> 도시형 마을만들기(수원, 안산)
7회 : 마을만들기 사례 - <해외①> 일본의 마을만들기(도쿄시 세타가야 구)
8회 : 마을만들기 사례 - <해외②> 일본의 마을만들기(도쿄시 네리마 구)
9회 : 마을만들기 사례 - <해외③> 일본의 마을만들기(요코하마, 지바 시)
10회 : 마을만들기 사례 - <해외④> 영국의 마을만들기
                                                      (런던의 거버넌스 도시재생)
11회 : 김포시 마을만들기 사업의 현황
12회 : 김포시, 사회적 공동체의 평가와 기대

-----------------------------------------

우리나라의 기형적인 도시화는 난개발과 형식적인 도시화로 인한 병폐에 허덕이고 있는 게 우리의 현실이다. 아파트라는 공동 주거환경이 조성된 지 수십년이지만, 개인적이고 배타적인 주거문화는 팽배한 대신, 공동체 문화가 사라진지 오래다. 이같은 사회문화는 다시 마을만들기를 통해 공동체 정신과 문화를 회복하기 위해 선진적인 지자체에서 시작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마을 만들기 사업은 기준 없이 사례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에 김포신문은 지역공동체 회복을 위해 ‘김포시 공동체 활동의 현실과 과제’라는 주제로 일본의 우수 사례와 국내의 성공사례들을 취재해 문제점과 대안모색에 나선다.<편집자>

지난 호까지 우리나라 마을만들기 등 공동체 활동과 그 지원에 대해 원론적인 측면에서 몇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번 호부터는 개별 지역의 마을공동체 활동에 대해 선진지역이라 할 수 있는 곳을 국내와 해외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찾아갈 곳은 2010년대 들어 마을공동체 활동으로 주목받고 있는 전라북도 완주군의 경우다. 완주군의 경우 2008년 ‘약속 프로젝트’로부터 지역 내 농업 활성화와 농촌활력 증진을 위한 정책수립과 활동이 시작되었다. 이 사업은 생산과 유통, 농업 회생과 농촌지역의 활력을 위해 5년간 100억원의 군 예산을 집중 투입하는 사업이었다. 이 사업이 기획된 것은 농업환경이 급변하는 상황 속에서 단기적인 처방으로는 농촌 및 농업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절박함에서 비롯되었다.

이와 함께 2008년 완주군은 희망제작소와 협약하여 ‘완주군 희망만들기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었다. 이 프로젝트로 희망제작소는 완주군에서 주민 중심의 발전정책을 만들고 주민과 공무원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이와 동시에 완주군에서는 군 직원을 희망제작소에 파견하여 협력사업을 발굴하도록 했다.

이후 완주군은 2010년 민선5기 들어 농촌활력과를 신설해 여러 부서에 산재해 있던 농업 및 농촌 관련 사업들을 한 군데로 통합해 연계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했다. 이 과정에서 완주군이 취한 특징적인 시도가 중간지원조직을 통한 사업추진이었다. 즉 행정의 경우 잦은 인사이동과 민간과의 밀접한 접촉 불가능 등으로 사업의 연속성을 찾기 어려워 분야별 전문가 및 활동가가 행정과의 거버넌스 속에서 행정의 미비점을 보완해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훨씬 유용하고 연속성과 창의성을 추구하고 안정적인 사후관리까지 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판단했다.

그 결과로 만들어진 것이 커뮤니티비지니스센터, 마을회사육성센터, 로컬푸드지원센터 등이다. 이들 중간지원조직을 당시 폐교된 초등학교에 지역경제순환센터라는 이름으로 모아 한 공간에서 일할 수 있도록 했다. 현재는 일부 조직이 독립하기도 하고 완주군 행정조직에 흡수된 경우도 있어 커뮤니티비지니스센터만 운영되고 있다.

2015년 완주공동체지원센터로 이름을 바꾼 센터의 주요사업으로는 첫째 공동체사업 현장지원 사업이 있다. 현장지원 사업으로는 ▲공동문화형 마을사업 발굴육성 지원 ▲기존 마을사업 내실화 및 신규 사업 지원 ▲국가사업 연계 가능한 역량있는 마을 육성 ▲지역창업공동체 활동지원 및 공동체 교류사업 등이 진행중이다.

둘째 정책개발연구 사업으로는 ▲완전한 마을 플랫폼 구성 연구 ▲관내 마을과 아파트 간 도농소통사업 연구 ▲농촌 어메니티(amenity) 자원 발굴연구 ▲사회적 거버넌스 구축방안 연구 등을 진행하고 있으며, 셋째 주민상담 및 네트워크지원 사업으로 ▲국내외 학술교류 및 지역네트워크추진 ▲주민상담 업무 및 정책수시지원 ▲공동체 누리살이 한마당 ▲사회적경제 역량강화 교류연구포럼을 진행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아파트 르네상스 육성 및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 사업이 있는데 이 사업을 위해서 센터는 ▲아파트공동체 이웃소통 프로젝트 활성화 ▲거점형 공동체 캠퍼스 공간 조성 ▲아파트 사회적기업 생태계 조성 ▲아파트공동체 활동 활성화 지원 ▲아파트 소통미디어 기반 구축 등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같은 사업의 진행을 위해 완주공동체지원센터는 센터장을 비롯해 마을공동체팀, 완주르네상스팀, 정책기획팀 등 3팀 12명 총 13명의 인력을 구성했으며 각 팀당 1인씩 연구원을 두었고 마을사무장 제도 등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까지 완주공동체지원센터 센터장을 지낸 임경수 씨는 “중간지원조직으로서 완주공동체지원센터의 가장 중요한 사업은 지역주민에 대한 교육이다. 행정기관은 보조금을 지원한 사업단에서 활동하는 주민에 대한 교육을 중요하게 여기지만 센터는 이러한 교육과 함께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관심 없는 주민들이 공동체 사업을 이해하고 새로운 인적자원을 발굴할 수 있으며 협동사회에 대한 주민인식을 높여 지역에서 추진하는 공동체사업의 지속성을 담보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교육사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임 전 센터장은 또 “다양한 사업관련 정보의 제공, 사업계획의 수립, 사업관리, 컨설팅 및 모니터링을 하는데 이 과정은 복잡하게 추진하고 있는 공동체사업의 지원정책을 효과적으로 연결해주는 역할”이라며 “중앙정부에서 지원하고 있는 공동체사업은 부처마다 다르고 특정 사업이 지원하는 사업체의 법적 형태가 제한되어 있기도 해서 공동체사업을 추진하는 주민들은 사업단의 법적 형태와 중앙정부의 지원정책을 짝지어 선택해야 하는데 이는 이 분야의 전문가도 어려운 일”이라며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에 대해 말했다.

▲ 지역창업공동체 워크숍 모습


이와 함께 임 전 센터장은 “완주군과의 긴밀한 소통 민관협력이 매우 중요하다”며 “행정기관의 속성상 예산지원이 끝나면 관심이 떨어지기 때문에 센터는 사업이 끝났거나 혹은 사업을 중단한 마을도 정기적으로 방문하여 관리한다”고 밝혔다.

완주공동체지원센터는 전국 최초로 설립된 커뮤니티 비즈니스(community business)분야 중간지원조직이라는 자부심을 가지고 농촌은 물론 도시공공체를 아우르며 지속 가능한 완주를 꿈꾸고 사회적 경제 1번지 완주를 만들어가고 있다고 자신들의 위상을 설명한다. 이는 2010년 이후 문을 연 많은 중간지원조직들이 또 중간지원조직을 만들고자 하는 활동가들과 지자체 공무원들이 원주를 찾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완주공동체지원센터는 자신들에 앞으로 헤쳐 나가야 할 과제로 지역사회의 신뢰를 꼽고 있다. 이것은 초기 사업이 커뮤니티 비지니스를 중심으로 운영되었기 때문에 창업이 가능한 특정 계층, 특정 성향을 가진 사람, 귀농귀촌인 중심으로 운영되었다는 질책에 대한 반성이다. 그래서 센터는 현재 교육, 문화, 복지 분야에서 일반 완주군민 등을 사업대상으로 확대하려 노력하고 있다. 또 하나 센터의 인력수급과 전문화 또한 당면과제로 젊은 인력들이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는 인적자원관리가 무엇인지 고민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센터가 현재 고민하고 지향하는 것은 대안적인 삶의 방식과 대안 경제 시스템에 대해 끊임없이 알리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방식의 마을만들기, 마을기업, 협동조합 등이 서로 연대하고 연합할 수 있는 방식을 만들어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센터는 생각한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중간지원조직이 없어도 자연스럽게 이런 공동체 활동이 이뤄지는 완주군의 모습을 기대하고 있다.

김동규 기자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저작권자 © 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