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희저 작


오늘은 오랜만에 북을 쳤습니다. 고즈넉한 시골 분위기에 북소리가 잘 어울릴 것 같지 않아요? 몇 년 전에 심심풀이로 읍내에 있는 소리꾼에게서 개인 교습을 받은 적이 있어요. 북이라야 한달 남짓 배운 것이 고작입니다. 배운 것을 연습하려고 무릎장단을 쳤어요 그랬더니 무릎이 시퍼렇게 멍들더군요. 그게 안되었던지 남편이 북을 사 주었어요. 그냥 북을 치기가 무료해서 단가를 하나둘 외웠습니다. 고수나 소리꾼으로 나설 것도 아니니까 그냥 오디오에 CD를 걸어놓고 따라 부르는 수준이었어요. CD는 임방울이 해방 전에 녹음한 유성기 판에서 발췌한 것이라고 합니다.
판소리도 시대의 변천에 따라 많은 변화를 겪었지요. 사설도 추가되거나 생략되고 곡조도 많이 편곡되었어요. 그러니까 제가 배운 판소리는 시방은 통용되지 않는 것이지요. 그러거나 말거나 저는 임방울의 소리에 매료되어 일제 강점기에 녹음한 것을 그대로 배웠어요. 말하자면, 독공을 한 셈이지요. 춘향가를 부르면 춘향의 절절한 사연이 가슴에 스며들어 가슴이 저리고, 수궁가의 해학적인 사설은 절로 웃음을 자아내게 합니다.
도시에서라면 스끄러운 북소리와 악쓰는 소리를 이웃 주민들이 곱게 보아주지 않을 테지요. 하지만 제가 사는 시골은 사람의 소리가 워낙 귀한 곳이라서 제 악다구니를 어여삐 보아줍니다. 마을 사람중에는 그 듣기 좋은 북소리가 요즘에는 왜 들리지 않느냐며 넌지시 제 북소리를 청하는 사람도 있어요. 북을 치며 노래를 하자면 아랫배에 힘을 모아서 내뱉어야 하니까 운동과도 그만이지요. 저는 이상하게 소리를 시작하면 잠겼던 목청이 더욱 청아하게 맑아져요. 임방울의 목을 굴리는 옥음을 따라하기 위해 쑥대머리와 사랑가와 흥부가를 악을 쓰며 불러댑니다. 저는 북에 익숙하지 못해 변형된 잔 가락을 잘 모릅니다, 북소리의 진미를 재즈의 즉흥곡처럼 때에 따라 변형되는 잔 가락에 있는 것 아니겠지요. 중머리는 판소리의 원박입니다. 중머리를 칠 때에는 어쩐지 인생도 원 박에 충실해야 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합니다. 중중모리는 중머리를 빠르게 치는 장단입니다. 어찌 들으면 경망하게 들리지만 중중모리는 나름대로 경쾌하고 명랑한 가락이라고 볼 수 있지요. 진양조는 비탄조의 판소리 사설에 어울리는 장단입니다. 느린 가락에 여러 가지로 변주를 할 수 있는 진양조는 그런 대로 짤긋짤긋 씹히는 맛이 있어요. 중머리로 시작해서 호남가를 부르고, 중중모리로 몰아쳐서 흥부전의 제비 날아오는 대목을 부르고, 임방울이 직접 만든 단가, 추억을 부르며 진양조로 흐느적거리다 토끼와 별주부가 만나는 아니리를 외웠어요. 판소리의 아니리는 요즘 젊은이들이 부르는 랩의 전신인 것 같아요. 다시 생목을 틔우기 위해 쑥대머리를 한 옥타브 높여 부르고 사랑가를 불렀지요.
북을 치면서 저는 제 인생이라는 것이 북의 변죽과 같다는 생각을 해요. 우리 나라는 특이하게도 수도권 문화 중심이잖아요? 제가 살고 있는 함평만 하더라도 지역 특성을 살리기 위해 나비 축제를 열고 오리 농법으로 지은 청정 농산물을 내세우지만 해마다 인구가 격묻혀 지내는 것은 문화의 변방에 머무른다고 볼 수 있겠지요.
사람들은 우리의 소리가 한의 소리라고 해요. 저는 조금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습니다. 판소리는 물론 한의 소리이지만, 해학과 풍자가 깃들인 민중의 소리라고 생각해요. 우리 조상들은 참으로 슬기로운 민족이었습니다. 일정한 교육 기관이 없었던 시절에는 구전으로 전해오는 전설이 교과서에 해당하는 것이었지요. 판소리는, 원래 단골이 불러들이던 신화에서 기인한 소리 문화라고 볼 수 있습니다. 춘향전에는 문도령과 자청비의 신화가 깃들어 있어요. 문도령과 자청 비의 이야기는 신화의 세경 본풀이에 나오는 사설이지요. 심청전도 신화 어떤 끄트머리와 연결된 이야기고요. 조상들은 그렇게 구전되는 설화에 충·효·열을 심어놓고 교훈을 삼았던 것입니다. 농사짓는 고단함을 달래기 위해 부르는 노동요도 있었고, 베 짜며 불렀던 노래, 고기잡이 노래도 있었지요. 그만큼 소리는 우리의 생활 깊숙이 들어와 있었던, 친숙한 것이었지요. 딱히 한의 소리라고 규정지을 것까지는 없을 것 같아요.
엉터리 판소리를 읊조리며 북을 치는데 열정이 구름처럼 꾸물꾸물 피어올라요. 신명이 어찌 되었든 저는 변방에 물러나 있는 제 인생을 북소리에 실어 마구 두드리고 마구 악을 쓰는 겁니다. 그렇게 시간쯤 지났는데 문든 두드리는 소리가 들려요. 나가보니 어쩌다 한번씩 얼굴을 내비치는 화가, 조각가 친구들이 아이들을 데리고 찾아왔어요. 우리 집 주방은 마루보다 더 낮습니다. 조각가 친구는 그런 우리 집을 마당 깊은 집이라고 불러요. 그 친구들은 제가 만든 동백 부각의 맛을 못 잊어 가끔 찾아오는 친구들이지요. 그 친구들에게 동백 잎 안주에 국화주를 내어주고 이야기를 나누다 보니 저녁밥 시간이에요. 친정에서 얻어온 배추김치에 순무 김치, 고들빼기 김치, 계란찜과 매운탕, 되지고기 불고기를 부랴부랴 만들었지요. 주방을 거실 겸 사용하는 것의 장점은 음식을 만들면서도 손님들과 대화를 나눌 수 있다는 것이어요.
결혼한 지 한달 된, 보기에는 10년쯤의 유부남으로 보이는 그림 그리는 친구는 제가 키워서 담근 순무 김치를 감탄하며 먹더군요. 저는 먹다 남은 순무 김치는 그 친구의 부인에게 싸줬어요. 조각가 친구의 초등학교 1학년 딸이 불빛을 받아 입체적으로 빛나는 매화를 보며 팝콘 같다고 말합니다. 사람들이 다 떠나고, 이슬비 보슬보슬 내리는 마당에 팝콤 같은 매화만 더욱 정염을 내뿜고 있습니다.

다음호에 계속
저작권자 © 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