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칼럼

송영봉 전문의(뉴고려병원 소화기내과)

소화불량증(dyspepsia)은 어원이 bad(=욘)+digestion(=pepsia)으로 소화 작용이 불량하다는 의미에서 시작되었지만 현재는 로마진단기준 II에 의하여 상복부 중심의 통증 또는 불쾌감으로 정의하고 있는 데, 여기서 중심이란 명치끝에서 배꼽사이의 상복부 중앙을 의미하며 좌우측 늑하부는 제외하고 있다.

또한, 불쾌감이란 통증을 느끼지 않는 환자가 호소하는 주관적이고 부정적인 증상으로 상복부 포만감(fullness), 조기 포만감(early satiety), 팽만감(bloating), 구역(retching), 오심(nausea), 구토(vomiting), 트림(belching), 식후 불쾌감(postprandial discomfort)등이며 대개는 서로 동반되어 주로 식후에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통증이나 불쾌감은 식사와 관련이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다.

소화불량증의 원인을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는 증상을 일으킬 만한 확실한 원인을 가지고 있는 경우로 만성 소화성 궤양, 위식도 역류질환, 위암, 췌담도계 질환, 그리고 소화불량증을 일으킬 수 있는 알코올, 항생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등 여러 약물에 의한 경우이다.

둘째는 어떤 병태생리학적 또는 미생물학적인 이상 소견은 발견되지만 그 소견의임상적 의미는 아직 확실하지 않는 경우인데, 그 예로는 Helicobacter pylori 위염, 조직학적인 십이지장염, 담석증, 내장 과민증(visceral hypersensitivity), 위십이지장 운동이상 등이 있다.

셋째는 상부 위장관 내시경검사법을 비롯하여 현재까지 개발된 여러 검사로는 상기 증상을 일으킬 만한 어떤 이상 소견도 관찰되지 않는 경우다. 이중 둘째와 셋째의 경우가 바로 기능성(또는 비궤양성) 소화불량증이라고 할 수 있다.

상부 위장관 내시경검사는 소화불량증 환자의 진단에서 가장 중요한 검사법으로 가장 먼저 그리고 흔히 시행되는 검사다.

상부 위장관 조영술과 비교해 월등히 높은 진단율을 보이며, 일단 한번 정확히 시행하면 그 외 추가 검사들에서 더 얻어지는 것은 비교적 적은 편이다. 또한 이는 소화성 궤양, 역류성 식도염, 위암 등을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조직 생검을 통해 악성궤양을 감별할 수 있으며 Helicobacter pylori 감염 유무도 검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 임상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약제들이 기능성 소화불량증 증상의 완화를 위하여 사용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효과적인 치료약물에 대한 충분한 정보와 함께 경험에 준한 여러 약제들의 조합으로 치료를 시도하는 경우가 많지만 이상적으로는 증상에 관련된 기저 병태생리를 추정해 보고 이를 교정해주는 치료 약물들을 조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치료에 있어서는 우선 이 질환의 성격에 대해 충분히 설명해주고 악성 질환이나 생명과는 무관함을 확신시킴으로써 불안감을 없애주는 교육이 필요하다.

기능성 소화불량증은 위약효과가 높은 질환으로 자세한 설명과 검사를 통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저작권자 © 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