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시건설과 맞물려 폐교위기에 몰렸던 고창초 존치여부가 토공과 교육청의 줄다리기 협상을 거듭하던 가운데 존치쪽으로 가닥이 잡혔다.
토공은 일단 정형화 작업을 통해 학교 부지 5000여평을 제시했고 교육청은 교육환경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이를 수용할 계획임을 밝혔다.
토공 관계자는 전통도 중요하지만 새 인구 유입과 개발완료시점에 있어서의 낙후성 등으로 결국 아이들에게 피해가 가는 게 아니냐고 주장한다.
토공 주장도 일리가 있다. 학생들에게 있어 최첨단 시설에서 공부하는 것이 나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학교를 개발의 논리로만 해석해서는 안된다. 아이들은 학교 시설만 보고 다니는 것이 아니다. 학교에서 추진하고 있는 교육방향과 전통, 교사의 모습을 보고 자란다.
이를 무시해서는 안된다.
교육청 홈페이지엔 요즘 고촌 현대 힐스테이트 입주예정자들의 2008년 3월 수기중학교를 개교하라는 민원이 빗발치게 올라오고 있다.
현대 입주자들은 교육청의 무사안일, 탁상행정으로 아이들의 정당한 학습권이 침해되고 있다고 주장하며 조속히 개교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교육청은 환경평가상 부지확보 어려움과 암반지역으로 인한 공사 지연 등을 이유로 빨라야 2008년 9월에 개교시기를 맞출 수 있다고 답변한다.
9월 개교도 문제가 있다. 공사를 마치고 개교하더라도 기간제 교사 투입 등 교육의 질 저하는 자명한 상태다. 도보로 통학이 가능한 거리라면 고촌중학교 진학이 아이들에겐 더 나을지도 모른다. 학교 운영계획과 교사가 안정되게 배치되지 않은 가운데 진학할 경우 혼란은 불보듯 뻔한 일이기 때문이다.
물론 관계기관의 행정 이기주의나 업무태만은 용납할 수 없다. 여하튼 민원이 속출하고 있는 데에는 기관들의 발빠른 대처가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에 대해서는 응당하게 책임을 져야 한다.
작게는 학생들의 학습권 침해에 연관되고 나아가서는 우리 미래를 책임질 아이들의 성장에 크나큰 영향을 미치는 일이기 때문이다.
<취재부 김근희기자>


저작권자 © 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